행복한 세상/세상읽기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헌법수호 의무 저버렸다"

킹스텔라 2025. 4. 4. 12:07
728x90
'경고성 계엄' 주장 안 받아들여…'정치인 체포·의원 끌어내기' 사실로 인정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서울=연합뉴스)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위해 헌법재판관들이 입장하고 있다. 2025.4.4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전재훈 황윤기 기자 =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을 4일 파면했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11시 22분께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한다"는 탄핵심판 선고 주문을 읽었다. 파면의 효력은 즉시 발생해 이를 기점으로 윤 대통령은 직위를 잃었다.

 

헌재는 "피청구인(윤 대통령)은 군경을 동원해 국회 등 헌법기관을 훼손하고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침해해 헌법 수호의 의무를 저버렸다"며 "피청구인을 파면함으로써 얻는 헌법 수호 이익이 파면에 따른 국가적 손실을 압도할 정도로 크다"고 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입장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서울=연합뉴스)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 입장해 있다. 2025.4.4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윤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때로부터 122일만, 지난해 12월 14일 탄핵소추안이 접수된 때로부터 111일 만이다.

헌재는 이날 오전 11시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열고 국회의 탄핵소추를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인용했다.

 

반대 의견을 남긴 재판관은 없었고 일부 재판관들이 결론에는 동의하면서 세부 쟁점에 대해서만 보충 의견을 덧붙였다.

헌재는 작년 12월 3일 당시 국가비상사태가 아니었는데도 윤 대통령이 헌법상 요건을 어겨 불법으로 계엄을 선포했다고 봤다.

 

이른바 '경고성·호소용 계엄이었다'는 윤 대통령 주장에 대해서는 "계엄법이 정한 계엄의 목적이 아니다"라며 "피청구인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탄핵심판 선고 뉴스에 집중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4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이용객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생중계를 보고 있다. 2025.4.4 mjkang@yna.co.kr

  윤 대통령이 국회의사당에 모인 의원들을 끌어내 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하려 했다는 의혹, 국군방첩사령부를 통해 주요 정치인·법조인 등을 체포하도록 지시했다는 탄핵소추 사유도 인정됐다.

 

탄핵심판 과정에서 윤 대통령 측이 신빙성을 적극적으로 공격했던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의 진술도 모두 사실로 인정된 것으로 보인다.

 

헌재는 이른바 '내란죄 철회' 논란에 대해서는 탄핵소추 사유의 변경으로 볼 수 없다며, 국회의 탄핵소추가 절차적으로 적법하다고 판단했다.

 

water@yna.co.kr

 

출처 : 연합뉴스 황윤기 2025. 4. 4. 11:32

728x90

 

헌재, 대통령 윤석열 파면,. 8:0 '만장일치'
헌재,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시작
"탄핵소추안 의결 적법..탄핵 소추 남용 아니다"
"의혹만으로 중대한 위기상황 발생했다고 볼 수 없어"
"부정선거 의혹 주장, 타당하지 않아"
"국민의 정치적 기본권, 단체행동권, 직업 자유 침해"
정치인 등 체포 시도 "위치확인 대상, 전 대법원장.대법관 포함"
"법치.민주국가 기본원리 심각한 위해"
"국가긴급권을 헌법에서 정한 한계 벗어나 행사"
"국회를 협치 대상으로 존중했어야"
"국회 배제 대상으로 삼아..민주주의 전체 허물어"
"대통령, 헌법과 법률 위반해 국민 충격 빠트려"
"헌법수호의 관점에서 용납될 수 없는 중대한 법 위반"
윤석열 파면
헌재, 대통령 윤석열 파면..8:0 '만장일치'
728x90